EMA는 자극에 의해 구조물의 동적 응답을 분석하는 분야인데 자극에 대한 응답은 데이터 수집 장비를 통해서 발생합니다. 이는 FEA 결과를 검증뿐만 아니라 구조의 모달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유용합니다. EMA는 모달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4 단계 프로세스입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과정을 나타냅니다. 1) Vibration Sensor(Accelerometer, 가속도계) 엔지니어들은 구조의 진동 응답을 기록하기 위해서 가속도계라고 불리는 진동 센서를 사용합니다. 가속도계에 진동을 넣기 이해서 임펄스 해머를 사용하지요. 가속도계는 특정 테스트 시나리오에 필요한 주파수 범위, 동적 범위, 신호대 잡음비, 감도에 맞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가속도계를 구매할 때 보시면 이러한 스펙이 잘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모달 해석이라는 말은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의미로는 진동문제에 대한 고유의 진동수를 해석하는 것을 말하지요. 즉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모달 해석은 모드 해석(Mode Analysis)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그럼 왜 모달 분석이 필요한 것일까요? 지난 몇십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큰 인명 혹은 재산상 피해를 발생시킨 다리 붕괴 사건이 여럿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수십억 달러의 손실은 분명 수백명의 생명을 앗아가기도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사고는 좀 더 나은 디자인, 검증, 모니터링을 통해서 교량에서의 구조를 잘 설계 했다면 피해갈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모달 분석은 모니터링 시스템 기업 및 교량 설계 기업의 R&D 부서로 부터 많은 관심을..
FFT 및 파워스펙트럼을 통해서 분석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선형 스케일로 볼 것인지, dB 스케일로 볼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값을 Linear 혹은 dB 스케일로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결과의 값은 dB 스케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LabVIEW Express VI를 사용 LabVIEW ExpressVI는 Express VI는 자체에서 dB 스케일로 결과를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법을 알아볼까요? LabVIEW의 블록다이어그램에서 함수를 열어 익스프레스 >> 신호분석 >> 스펙트럼 측정을 들어갑니다. 블록 다이어그램에 스펙트럼 측정을 두면 아래와 ..
NI-CAN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Legacy CAN 보드를 이용할 때 하나의 보드에 있는 2개의 포트를 동시에 이용하게 되면 송수신 Rate가 Drop되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PCI-CAN/XS Series 2를 통해서 하나의 Port를 통해서 메시지를 송수신 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544, 688과 같은 메시지는 10초에 Periodical 하게 전송이 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메시지 송수신이 문제가 없다고 파악할 수 있죠. 하지만 두개의 Port를 동시에 써서 측정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가집니다. 속도가 1/2로 줄어버리는 현상입니다. 과연 무엇이 잘못된것 일까요? 보드의 잘못일까요? 프로그램이 잘못된 것일까요? 이는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그 이유는 NI-CAN ..
LabVIEW에서 DL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LL에 대한 함수를 직접 호출하는 라이브러리 함수 호출 노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혹은 반입을 통해서 공유라이브러리를 불러와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전의 포스팅을 통해서 좀더 상세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014/09/08 - [National Instruments/LabVIEW] - LabVIEW에서 DLL을 읽어오자 - 2, WINAPI 사용하기 (user32.dll 응용)2014/09/08 - [National Instruments/LabVIEW] - 랩뷰에서 DLL 사용하기2014/09/08 - [National Instruments/LabVIEW] - ActvieX 기반의 DLL을 LabVIEW에서 사용하는 방법 이 글에서는 사..
[LabVIEW] 비전으로 수집한 카메라 영상 프로그래적으로 이동하기 VAS(Vision Acquisition Software)를 설치하여 Grab 함수를 이용하여 USB 카메라를 통해서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미지를 수집한 결과입니다. 수집한 결과 이미지를 아래의 그림처럼 확대/축소를 통해 이미지를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확대를 하게 되면 아래의 그림 처럼 그림을 확대하여 볼 수 있습니다. 확대를 하게 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Image 인디케이터에 확대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확대가 되게 되면 아래의 그림 처럼 인디게이터의 오른쪽과 하단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스크롤바가 생깁니다. 오늘의 글은 이러한 스크롤바를 프로그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크로바를..
NI-CAN을 이용한 NI CAN Demobox와 통신하기 NI-CAN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DATABASE 파일을 MAX에서 설정하거나, 파일에 대한 경로를 Init 함수에 넣어줘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MAX에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X를 켜고 내 시스템 – 채널 및 태스크 관리 – CAN Channels을 선택합니다. 거기에서 Load Channel Configuration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파일 선택 화면이 뜹니다. 사용할 Database에 대한 파일을 선택합니다. 사용할 Message를 선택하고, All channels in selected messages를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이 MAX에 올라오게 됩니다. 관련 기능 구현 준비하기 CAN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CAN..
각 신호의 입력은 AC 또는 DC 커플링을 통해서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DC 커플링이란 DC와 AC의 신호를 모두 포함하여 수집하는 것을 말하고, AC 커플링은 DC의 신호를 제거하고 입력된 신호의 AC 신호만을 입력받는 것을 말합니다. 콘덴서는 시그널과 반드시 직렬로 연결 되어야 합니다. 전압을 OFFSET 시키는 DC 성분을 제거함에따라 시그널 측정하는데 있어서 해상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AC 커플링이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즉 AC커플링이란 교류 신호만 통과시키고 DC 신호를 내부콘덴서로 보내 신호 자체를 없애버립니다. AC 커플링한 결과를 아래의 그림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의 (a)는 AC와 DC 신호가 합쳐져 있는 신호입니다. DC Offset이 있습니다. 하지만..
NI-CAN과 NI-XNET의 차이 National Instruments 제품군을 통해서 CAN 통신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버는 NI-CAN과 NI-XNET이 있습니다. NI-CAN은 Series 2 C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레거시 CAN 드라이버라 생각을 하면되고, NI-XNET은 NI-CAN 이후에 나온 차세대 드라이버라고 보시면 됩니다. NI-CAN과 NI-XNET 모두 CAN 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드라이버입니다. 하지만 NI-CAN에서 NI-XNET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CAN에 대한 정의가 조금은 달라졌습니다. 내용은 같지만, 이름이 살짝 변경되었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결론은 둘다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사용하며, 이에 대해서 메시지를 받을 때 메시지 기반이냐, 프레임 기..
VISA 잠금 설명 및 관련 이슈 VISA 통신은 GPIB, Serial, TCP, UDP와 같은 다양한 통신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최상단 API 입니다. 이번 Tech-Tip에서는 VISA 드라이버를 사용하면서 상대 장비에 대한 소유권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잠금에 대한 부분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잠금 기능을 이용하면 디바이스나 리소스의 유일한 접근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잠금상태가 되면 다른 어플리케이션 혹은 시스템에서 잠금 상태가 되어 있는 장비를 이용하지 못합니다. NI-VISA에서 제공하는 잠금은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Exclusive Lock : 이 잠금 방식은 단 하나의 시스템에서만 상대방 리소스를 사용하게끔 설정하는 방식입니다.Shared Lock : 이 잠금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