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오늘은 구글 크롬 다운로드하여 Chrome 설치파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구글 크롬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보다 편리하기도 하고, 속도가 빠르기도 해서 저는 왠만하면 구글 크롬을 씁니다. ActiveX와 관련된 사이트의 경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저의 인터넷 서핑 90%는 구글 크롬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구글 크롬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 려고 하는거구요.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구글 크롬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구글 크롬 다운로드 링크 (Google Chrome Download Link)https://www.google.com/intl/ko/chrome/browser/features.html 위의 링크를 누르면 아래의 그림과 ..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NI OPC Server를 사용하기 위한 PLC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이 글에서 사용하는 PLC는 미쯔비시 PLC Q 시리즈입니다. PLC를 통해서 호스트에 있는 OPC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USB와 TCP/IP(이더넷) 방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PLC와 호스트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자신의 PLC 제품에 맞게 설정을 하고 OK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파라미터(Network Param)을 더블클릭하고 네트워크 세팅창을 엽니다. 네트워크 세팅창은 아래와 같이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Module1 부분에 Network 타입과 Network Number등을 지정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NI VeriStand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I VeriStand는 리얼타임 테스트 어플리케이션(Real-Time Test Application)을 개발하기 위한 National Instruments의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NI VeriStand는 리얼타임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NI VeriStand가 제공하고 있는 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하드웨어 I/O 인터페이스: 리얼타임 테스트를 위해 외부 하드웨어와의 연동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로깅: 하드웨어 IO등을 통해서 처리된 입력과 계산된 결과를 TDMS등으로 저장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입력값과 계산된 ..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VeriStand에 대한 엔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VeriStand는 HILs를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NI의 소프트웨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VeriStand 엔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VeriStand 엔진은 타겟과 호스트 컴퓨터 사이의 전체 시스템 통신 및 타이밍 제어를 위해서 눈에 보이지 않은 실행 매커니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VeriStand 엔진은 여러 개의 타임드루프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 루프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서 RT(Real-Time)의 FIF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루프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태스크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루프 타이밍 설정과 같이 사용자가 기존에 정의된 루프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오늘도 역시나 깨알같은 랩뷰 강좌를 가지고 왔습니다. 이 글에서 알아볼 내용은 랩뷰에서 만든 실행파일(EXE 파일)을 실행했을 때 프로그래밍된 부분이 바로 실행이 되지 않게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설정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따라하기 위해서는 이미 특정 vi를 이용하여 빌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이 빌드스펙에 존재해야 합니다. 랩뷰를 이용하여 EXE 파일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의 랩뷰 강좌를 통해서 확인하세요. 2015/01/06 - [National Instruments/LabVIEW] - [LabVIEW] 랩뷰 어플리케이션 빌더 (EXE 만들기) 그럼 EXE 파일 설정을 위한 랩뷰 강좌를 시작하도록 합시다. 빌드 스펙을 만들때나, 빌드스펙 만든 후에 설정을..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오늘의 LabVIEW 강좌는 바로 랩뷰 테이블 버그에 대한 내용입니다. 랩뷰 테이블을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은 상황을 만날 수 있습니다. LabVIEW 테이블의 특정 셀을 마우스로 선택을 하면 자동으로 그 셀이 이상한 곳으로 움직이거나 드래그 되는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랩뷰 테이블의 이상 현상에 대해서 한번 지켜보도록 합시다. 테이블을 랩뷰의 프론트패널(Front Panel)에 아무곳에나 추가를 합니다. 그리고 특정 셀을 눌러봅시다. 대부분의 셀은 정상적이나 몇개의 셀은 아래와 같이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랩뷰 테이블의 8번 헤더가 이동을 하는 모습입니다. 또 다른 그림은 랩뷰 테이블의 9번 헤더가 이동하는 모습입니다. 위와 같은 증..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랩뷰의 테이블(Table) 사용 방법 중 프로그래밍 적으로 값을 변경하는 랩뷰 강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랩뷰에서 특정 컨트롤 혹은 인디케이터에 대한 값을 프로그래밍적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프로퍼티 노드나 인보크 노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번 랩뷰 강의의 목표는 프로퍼티 노드와 인보크 노드에 대해 이해를 하고, 각 노드의 사용법을 아는 것입니다. 프로퍼티 노드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랩뷰의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프로퍼티 속성 값을 프로그램 상에서 변경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보크 노드는 컨트롤 혹은 인디케이터가 가지는 함수들을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의 그림은 랩뷰 테이블의 프로퍼티 창을 보여줍니다. 자 그럼 프로그래밍적으로 랩뷰 테이블의..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오랜만에 파이썬 강좌를 가지고 왔는데요. 이 글에서는 파이썬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 것입니다. 기존의 C, C#언어의 함수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이 됩니다. ReturnType FunctionName(Parameters) { // Function Body // Return Result Return Result; } 그럼 C, C# 언어의 함수 형태를 한번 살펴보도록 할까요. C# 기준 함수 형식 public int GetNumber() { return 1; } C 기준 함수 형식 int GetNumber { return 1; } 위의 함수 형식을 살펴보면 모든 함수는 { 와 } 사이의 함수의 본문이 구성이 되게 됩니다. 하지만 파이썬 함수에서는 { 와 } 를 ..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오늘은 자신의 PC에 Python 설치를 따로 하지 않고 코드를 구현하여 파이썬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파이썬 실행을 도와주는 곳은 다름이 아니라 웹페이지인데요. 파이썬의 메인 홈페이지에서 Python을 설치하지 않고, 자신의 파이썬 코드 실행이 가능합니다. 그럼 파이썬 실행을 위해서 해당 페이지에 가보도록 합시다. 파이썬(Python) 메인 홈페이지 주소 : www.python.org 해당 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중간 부분에 아래와 같은 노란색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이 파이썬 실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Python Interactive Shell 실행 버튼 입니다. 파이썬 실행을 위해서 이 버튼을 눌러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콘솔을 로딩하는데요. 자신의 PC에..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오랜만에 랩뷰관련 자료를 가지고 왔네요. 오늘은 랩뷰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알아 볼텐데요. 공유변수를 활용하는 랩뷰 예제를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유변수가 무엇인지는 아래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5/01/13 - [National Instruments/LabVIEW] - [LabVIEW] 랩뷰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 공유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이브러리 기반으로 이루어 져야하기 때문에 LabVIEW를 프로젝트 기반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lvproj)를 생성하고, 내 컴퓨터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라이브러리 하나를 추가한뒤 svLibrary.lvlib와 같이 라이브러리를 저장합니다. 라이브러리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변수를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