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구스의 엔지니어 세상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구스의 엔지니어 세상

검색하기 폼
  • 엔지니어 세상 (451)
    • National Instruments (247)
      • LabVIEW (94)
      • LV OOP (4)
      • DAQmx (30)
      • DIAdem (25)
      • RIO (18)
      • Vision (10)
      • 통신 (14)
      • VeriStand (2)
      • TestStand (6)
      • RF (9)
      • 기타.. (35)
    • NATI 소식 (2)
    • IT 소식 (1)
    • 프로그래밍 팁s (98)
      • C#, .NET (16)
      • Android (1)
      • Excel(Macro, VBA) (19)
      • 프로그래밍 방법론 (12)
      • Database (8)
      • 기타 (25)
      • Swift..(iOS) (1)
      • R (1)
      • Python (15)
    • MAC 팁s (11)
    • Windows팁s (26)
    • Blog 팁s (1)
    • Good Apps (63)
    • Hardwares (2)
  • 방명록

[LabVIEW] 랩뷰에서 로그인 화면 예제 만들어보기

이번 글에서는 랩뷰에서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 화면을 만들어볼까 합니다. 로그인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인증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니 자주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중 하나입니다. 그럼 개발하는 과정을 살펴볼까요. 1. 로그인(ID/PW) 받는 윈도우 만들기 먼저 ID와 PW를 받을 창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새로운 VI를 만들고 이 VI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아래와 같이 구성을 합니다. 그리고 나서 아래처럼 While, Event 구조를 이용하여 코드를 구성합니다. 아래의 코드는 기본적인 구조만 넣은 상태입니다. 확인버튼과 취소버튼에 대한 이벤트를 각각 추가합니다. 이벤트 추가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벤트구조에서 오른쪽 마우스버튼을 눌러 이벤트 케이스 추가를 누릅니다. 취소버튼과 확..

National Instruments/LabVIEW 2015. 11. 21. 09:00
winmail.dat열기 - winmail opener를 이용하자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이메일을 받았는데, winmail.dat 파일이 존재하면 당황스럽죠.winmail.dat 파일이 도대체 먼데 열리지도 않고, 상대방이 메일과 함께 첨부파일을 보냈다고 하는데 메일에는 첨부파일을 확인할 수가 없죠. 첨부파일이 없는 이유는 winmail.dat 파일안에 내용과 첨부파일이 모두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winmail.dat 파일이 생기는 이유와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1. winmail.dat 파일이 생기는 이유 winmail.dat 파일이 생기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메일을 보낸 사람이 사용한 서식을 Transport Neutral Encapsulation Format(TNEF) 형식으로 인코딩해서 winmail.dat로 ..

프로그래밍 팁s/기타 2015. 11. 20. 13:24
C# 강좌 - typeof 키워드와 GetType 함수의 차이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구스입니다. 요새 C#을 다시 재정리 하는 김에 관련 내용을 계속 업데이트 하네요. 오늘은 특정 클래스의 타입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하는데요. 특정 어셈블리에서 보유하고 있는 타입의 상세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한번 생각해봅시다. Employee라는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특정 어셈블리 A에서 어셈블리 B에 포함되어 있는 Employee의 Instance(인스턴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이러한 Instanc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셈블리 B를 가져와야 하며(Load), 이를 통해서 Employee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멤버, 함수, 속성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Employee 클래스를 생성하여 Instance화 한뒤 이에 ..

프로그래밍 팁s/C#, .NET 2015. 11. 20. 10:52
C# 강좌 - Var 타입에 대해서 (implicit, explicit 선언)

이 글에서는 C#에서 선언할 수 있는 명시적선언과 암시적선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시적선언은 Explicit라는 용어를 많이들 쓰고, 암시적선언은 Implicit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이 두가지 선언 방법의 차이는 바로 변수 선언시 타입을 같이 선언하느냐 하지 않느냐인데요. Explicit : 변수의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var라는 타입을 통해서 선언합니다.Implicit :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야 합니다. .NET에서 또한 Explicit와 Implicit 모두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간단히 int형의 데이터 타입 변수를 선언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아래와 같이 변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int i = 0; //명시적 선언(Explicit) 하지만 var라는 명령어를 통해서도 C#에서는 변..

프로그래밍 팁s/C#, .NET 2015. 11. 20. 09:00
C# 강좌 - CLR을 이용한 안전한 코드가 가장 좋다 (Trust Level)

닷넷 런타임은 다른 머신으로부터의 악의적인 코드가 침투할 수 없도록 만들어져있습니다. 그 이유는 CLR을 기반으로 보안 사항을 유지하게 끔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분산 시스템에서는 다른 머신으로 부터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프로그램의 기능이 수행되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혹은 웹에서 수행되는 경우 CLR의 제한된 환경내에서 처리가 되어야 합니다. 특정 어셈블리가 Full Trust의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CLR이 이 어셈블리를 처리할 때 모든 기능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C#에서는 Code Access Security(CAS)라고 합니다. CLR은 롤 기반의 보안(Role-Based Security)를 적용하고 있..

프로그래밍 팁s/C#, .NET 2015. 11. 19. 13:21
[윈도우 어플 추천] 윈도우 메모리 사용량 확인, RAMMap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메모리가 이유 없이 100%가 간적을 경험한적은 없으신가요? 저는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디에서 이러한 메모리를 잡아먹는지를 분석을 해야하는데요. 이러한 분석툴 중 좋은 어플리케이션이 있어 관련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윈도우(Windows)에서 할당하고 있는 물리 메모리(Physical Memory)를 정확히 확인하고 싶으신가요? 얼마나 많은 데이터들이 RAM 메모리에 캐쉬메모리로 잡아먹는지 알고 싶은가요? 커널과 디바이스 드라이버에서 사용하는 램 메모리의 크기를 알고 싶으신가요? 위의 질문에 답을 해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를 드릴까 합니다. 이 프로그램의 이름은 바로 RAMMap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RAMMap은 윈도우의 물리 메모리 사용량을 분석하여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Good Apps 2015. 11. 18. 18:12
[DAQmx] 3개의 불리언을 이용하여 디지털 출력하기

DAQmx를 이용하여 디지털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해요. DAQmx 함수를 이용하면 AI, AO, DIO, Counter의 연동이 가능한데요. 이번 글에서는 DO에 대한 부분을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이 글의 목표는 3개의 Boolean 배열을 이용하여 7개의 DO 중 특정 DO에 출력을 하게끔 해보겠습니다. 말로 하면 좀 어려운데요. 3개의 불리언은 2진수, 출력되는 DO는 2진수의 10진수 값으로 변환한 값의 해당 포트가 출력이 되게끔 하고자 하는 거에요 (말이 어렵나요 ㅠㅠ) 아래의 코드는 DAQmx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타이밍 출력의 코드를 조금 변경한 것입니다. NI 예제는 참 잘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코드만 일부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LabVIEW 프로그래밍을 ..

National Instruments/DAQmx 2015. 11. 18. 15:39
[LabVIEW] 랩뷰에서 Citadel을 이용한 알람 확인하기(DSC 모듈)

이전 글에서는 랩뷰(LabVIEW)에서 DSC 모듈(Data Supervisory & Control)을 활용하여 데이터 로깅(Data Logging)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이 글에서는 랩뷰(LabVIEW)와 DSC 모듈을 이용하여 로깅된 데이터에 대한 알람 확인을 하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DSC 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 로깅(Data Loggin)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참조하세요 이와 같이 구현이 되어 있지 않으면, 샘플 데이터가 Citadel Database에 데이터가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의 실행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2015/11/17 - [엔지니어 세상] - [LabVIEW] 랩뷰에서 Citadel을 이용한 알람 확인하기(DSC 모..

National Instruments/LabVIEW 2015. 11. 17. 14:55
[LabVIEW] 랩뷰에서 Citadel을 이용한 데이터 로깅하기(DSC 모듈)

LabVIEW를 통해서 Citadel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abVIEW를 통해서 Citadel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로깅을 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데이터 로깅을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유변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로깅하기 DSC 모듈의 vi를 이용하여 데이터 로깅하기 2가지 방법 모두 데이터 로깅이 가능하지만 하나의 큰 차이점이 있다면 바로 공유변수를 통해서는 알람 및 이벤트 처리가 가능하지만, DSC 모듈의 함수를 이용하게 되면 알람 및 이벤트 처리가 불가능합니다. 데이터만 로딩이 되는 것이죠. 이 글에서는 먼저 공유변수를 통해서 데이터를 로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공유변수를 통해서 LabVIEW로 데이터 로깅하는 방법에 대해..

National Instruments/LabVIEW 2015. 11. 17. 14:36
[LabVIEW] Citadel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처리하기

이 글에서는 Citadel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백업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Citadel Database는 Lookout과 LabVIEW DSC 모듈에서 사용이 되는데, 이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알림 및 이벤트를 로깅하기 위해서 사용이 됩니다. 각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이 됩니다. 이 자료에서는 Citadel Databsase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할 까 합니다. Third-Party 유틸리티 사용하기 Citadel Database는 데이터 저장에 있어 자체적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 내부적인 파일 포맷은 다른 Third-Party 유틸리티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이 유틸리티들은 단지 데이터를 접근하여 데이터 백업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뒤에서 ..

National Instruments/LabVIEW 2015. 11. 16. 19:2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6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